내연기관차와 다르게 전기차를 구매하기 전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
전기차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고가의 자동차를 대중화시키기 위해
환경부에서 일부 보조금을 지원해준다
안타깝게도 전기차 대수가 늘어나면서
보조금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전기차는 무조건 지금 사는 게
이득이다라고 이야기들 한다
보조금은 국고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이 있는데
국고보조금은 차량 모델에
따라 금액이 틀리고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마다
지원해주는 금액이 틀리다
확인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www.ev.or.kr)에서 하면 된다
국고보조금 한도는
5500만 원 이하는 100%
5500만 원 초과~8500만 원 이하는 50%
8500만 원 이상은 지원을 못 받는다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업공고가 뜨고
계약한 차가 생산일정 잡히면
보조금 신청을 한다
만약 지역 보조금이 소진되었다면
차가 출고되었더라도
물거품처럼 사라지고
다른 계약자한테 넘어가고 만다ㅜㅜ
신청은 구매자 본인이 하는 게 아니라
카마스터가 다 알아서 해준다
구매자는 그냥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다른 지역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나는 카마스터가 다 알아서 해줬다
보조금 지원자가 많기 때문에 순번대로
대상자 선정이 되면 문자로 통보를 해주는데
이게 모라고 대단한 시험에 합격한 거 같이
기분이 날아가듯 좋다
카마스터에게 선정 통보받았다고 알려주면
그다음 또 알아서 다 진행을 해준다
별다른 특이사항 없으면
차량 출고 일자와 결재
탁송의 과정이 빠르게 진행이 된다
기다린 많은 시간과 다르게
허무하리만큼 빠르게 지나간다
차를 받으면 서비스로 해주는
틴팅 블랙박스 설치 유리막 코팅 PPF시공
번호판 달고 차량등록 보험가입
과정이 끝나면 드디어
차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필히 해야 하는 과정이
하이패스 등록이다
하루라도 빨리 등록하는 게 좋다
유료도로에서 무려 50%나 할인 혜택을 준다
경차에만 주어졌던 혜택이
전기차에도 받을 수 있는 거다
22년 12월에 끝난다고 하였으나
2년 더 연장되어 24년 12월 31까지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다행이다^^
등록은 자동으로 해주는 건 아니고
반드시 본인이 직접
한국 도로공사 영업소에 가서 해야 한다
하이패스카드는 편의점에서 구입을 했다
후불형으로 5만 원씩 전용계좌나 신용카드에
연계해 놓으면 자동 충전되는 방식이다
카드 잔액이 1만 원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충전이 된다
가입이 필요 없고 카드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간편하고 연회비가 없어서 결정을 하게 되었다
구매 후 QR코드 스캔 후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등록하면 끝이다
이제 한국 도로공사 영업소에
직접 방문해서 등록을 해야 하는데
이과정이 약간 번거롭고 귀찮다
참고로 인터넷으로는 불가능하니
꼭 사무소를 직접 방문해서 진행해야 한다
집에서 가까운 영업소를 검색해서 전화를 한다
등록 가능한 시간을 확인하고
마감 전까지 여유 있게 가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나는 가까운 곳인
김포톨게이트 영업소에 전화를 했더니
아주 친절하게 위치 설명을 해주셔서
어려움 없이 갈 수 있었다
사무소에 방문하게 되면
최대한 가까운 곳에
주차해야 진행과정이 수월하다
직접 가보면 왜 이런 말을
했는지 알게 될 것이다
민원실에 가서 접수를 하고
직원 안내에 따라 여러 번 차와 사무소를
왔다 갔다 하면 드디어 완료가 된다
이과정을 빨리 진행하려고 뛰어다니느라
은근히 힘들었다 그래도 기분은 좋다^^
이제 고속도로 통행 중 톨게이트를 지날 때
반값에 결재가 되는 안내음을 들을 것이다
특별한 혜택을 받는 뿌듯함이 느껴진다 ^^
다음으로는 충전카드인데
대부분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한
환경부 카드는 필수로 만든다
생산일자 잡히면 미리 신청하는 게 좋다
발급받는 시간이 있기 때문이다
단 충전업체 카드보다
비싼 요금에 공급받기 때문에
집이나 회사 근처 충전하게 될
충전기 파악한 후
해당 회사 카드 발급받는 걸 추천한다
그래서 전기차 오너들은
충전카드가 많은 이유다
추가로 초고속 충전인 e-pit 도 가입을 한다
회원이 3개 등급으로 나뉘는데
프라임회원 : 현대, 기아, 제네시스 전기차 회원
일반회원 : 어플에 가입한 회원
비회원 : 가입하지 않고 충전하는 비회원
프라임회원 : 초고속 340원, 급속 310원
일반회원 : 초고속 510원, 급속 410원
비회원 : 초고속 560원, 급속 500원
금액 차이가 많이 난다
연동 결재 카드로는
신청하고 실적 금액을 어느 정도 채우면
충전비 할인해주는 카드가 있다
여러 종류의 카드가 있는데
사용하고 있는 분들 말 들어보니
삼성 EV카드와 신한 EV카드가 할인폭이 커서
좋다고들 한다
이건 본인이 충분히 알아보고 결정하면 된다
여기서는 이런 게 있다는 정도만^^
이상으로 전기차 출고 진행과정과
준비해야 할 것을 이야기해보았다
요즘 전기차 인기가 상승하는 추세에
구매를 생각하시거나 계약하시는 분들에게
먼저 출고받아 운행하는 입장에서
당황하는 일이 없길 바라며
이 글을 적어봤다
댓글